공부 정리 블로그
0117 읽은 기사 본문
Connecting Tourism with Reef Restoration
The Inter-American Development Bank (IDB), detailing an initiative to both enhance Coral Vita's financial sustainability and revive fragile ecosystems upon which much sea life depends, said the company's restoration activities are much-needed given that an estimated 80 percent of Bahamian coral reefs are dying.
- upon: 전치사로, "~에 의지하여", **"~위에"**라는 의미.
- which: 관계대명사로, 앞에 나온 **"fragile ecosystems"**를 가리킴.
- much sea life depends: 관계절로, **"많은 해양 생물이 의존하다"**라는 의미
문장 구조 분석
**"revive fragile ecosystems upon which much sea life depends"**는 다음과 같이 나뉩니다:
- revive fragile ecosystems:
- "취약한 생태계를 되살리다"라는 주된 행위.
- upon which much sea life depends:
- "많은 해양 생물이 의존하는" 생태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관계절.
1. "upon"의 역할
- **"upon"**은 전치사로, **"의존하다"**라는 뜻의 **"depend"**와 함께 **"depend upon"**이라는 구동사를 형성합니다.
- "depend"라는 동사가 문법적으로 완전한 의미를 가지려면 반드시 전치사(on 또는 upon)가 필요합니다.
- 예:
- I depend you. → ❌ (틀림. 전치사 필요)
- I depend on you. → ✅ (맞음. 전치사 "on" 추가)
- 예:
따라서 **"upon"**은 **"depend"**와 결합하여 의미를 완성하는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2. "depends"의 역할
- **"depends"**는 동사로, 주어와 전치사구를 연결하여 "누가 무엇에 의존한다"는 동작을 나타냅니다.
- 이 동사는 문장에서 핵심적인 동작을 수행하므로 반드시 있어야 합니다.
- 예:
- Much sea life depends. → ❌ (의미가 불완전함: 무엇에 의존하는지 불분명)
- Much sea life depends upon ecosystems. → ✅ (완전한 의미)
- 예:
3. 왜 둘 다 필요할까?
- **"depend"**는 "의지하다"는 동사를 통해 주체(주어)의 동작을 설명합니다.
- **"upon"**은 "무엇에 의지하는지"를 나타내기 위해 필수적인 전치사로 쓰입니다.
결합하면:
- "Much sea life depends upon fragile ecosystems."
→ "많은 해양 생물이 취약한 생태계에 의지하고 있다."
4. 두 단어가 중복된 것처럼 보이는 이유
표면적으로 보면 "depends"(의지하다)와 "upon"(~에 의지하여)이 비슷해 보이지만, 각각 동사와 전치사로 문법적 역할이 다릅니다. 중복된 것이 아니라, 서로를 보완하여 문장을 완성하는 구조입니다.
"upon which"의 역할
- 의미적으로
- "upon which"는 **"on which"**와 동일한 의미로, **해양 생물이 의존하는 기반(= 생태계)**을 가리킵니다.
- "fragile ecosystems"가 바로 해양 생물이 의존하는 대상이기 때문에 전치사 + 관계대명사 구조로 구체적인 설명을 추가한 것입니다.
- 문법적으로
- **"which"**는 선행사 **"ecosystems"**를 가리킵니다.
- **"upon"**은 "의존하다"를 의미하는 depend의 전치사로 사용되었습니다.
- 영어에서 전치사가 관계대명사 앞에 위치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는 문장을 더욱 격식 있게 만드는 효과를 줍니다.
전치사의 위치에 따라 표현 방법
전치사는 두 가지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습니다:
- 관계대명사 앞에 전치사 (격식적, 문어체)
- "upon which much sea life depends"
→ 전치사가 관계대명사 앞에 오면 더 격식 있는 느낌을 줍니다. - 사용 목적: 문장이 깔끔하고 세련된 인상을 줌.
- "upon which much sea life depends"
- 관계절 끝에 전치사 (구어체, 비격식)
- "which much sea life depends upon"
→ 전치사가 관계절 끝에 오면 더 일상적이고 구어적인 느낌을 줍니다. - 사용 목적: 덜 격식 있는 대화나 친근한 톤에서 사용.
- "which much sea life depends upon"
예:
- 격식체
- "The principles upon which our constitution is based are universal."
(우리 헌법이 기반을 두고 있는 원칙은 보편적이다.) - 전치사 upon이 앞에 와서 문장이 더 공식적으로 보입니다.
- "The principles upon which our constitution is based are universal."
- 비격식체
- "The principles which our constitution is based upon are universal."
(우리 헌법이 기반을 두고 있는 원칙은 보편적이다.) - 전치사가 끝으로 가서 더 일상적이고 친근한 느낌을 줍니다.
- "The principles which our constitution is based upon are universal."
With Coral Vita already charging a $20 entrance fee for a one-hour tour of its facilities, and Grand Bahama set to experience an extra two million-plus cruise visitors annually when Carnival's Celebration Key private cruise port opens next year, the multilateral lender explained the capital injection is critical for it to fully exploit this new revenue source.
**"Exploit"**라는 단어는 맥락에 따라 긍정적 또는 부정적으로 사용될 수 있지만, 기본적으로는 **"활용하다"**라는 중립적인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여기서의 **"fully exploit"**는 부정적인 뉘앙스가 아니라 "완전히 활용하다", **"최대한 이익을 얻다"**라는 긍정적이고 중립적인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Coral reefs are dying globally - around 80 percent mortality in The Bahamas - threatening valuable ecosystem services, and traditional reef restoration methods don’t scale ecologically or economically,” the IDB warned in a project summary.
규모를 확장하거나 대규모로 적용할 수 없다
'영어 회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0204 오늘 읽은 기사 (0) | 2025.02.05 |
---|---|
0115 읽은 기사 (0) | 2025.01.15 |
02 Ángel-class_0115 (0) | 2025.01.15 |
01 Ángel-class_1128 (0) | 2025.01.15 |